'동양극장'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6.20 알아야 보이는 서울 성곽. 서대문-서소문 구간 1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는 말이 있다. 서울 성곽을 둘러보고자 몇 차례 혼자 길을 나섰다. 그저 성곽이나 성곽이 있던 자리를 찾아 걷는 여정이었다. 걷는 것 자체를 좋아하기 때문에 지루하지는 않았지만, 왠지 무미건조했다. 그러다가 서울흥사단에서 진행하는 역사순례에 참여하게 되었다. 늘보 선생(민경수)의 해설을 들으며 걸으니, 거리 곳곳에 숨겨져 있던 역사가 재현되는 듯했다. 아래는 서대문(돈의문)-서소문(소의문) 구간 을답사한 내용이다. 성곽뿐만 아니라 주변의 근현대사까지 함께 거닐었다.  

의주로, 경기감영터, 4.19혁명기념도서관

 서울흥사단 답사단은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4번 출구에 모였다. 고가도로 쪽을 보니 도로 이름이 ‘의주로’라고 되어 있다. 의주로는 서울에서 의주를 가는 길인데, 압록강을 건너 중국 단동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과거 중국으로 가는 길목인 셈이다. 의주로 옆에는 철길이 있는데 ‘경의선’이다. 일본이 중국 침략을 준비하기 위해 1905년에 완공한 철로이다. 이 기차를 타면 북한, 중국, 러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갈수 있다.
 
서대문역 4번 출구에서 적십자 병원으로 올라가다 보면, 길가에 ‘경기감영터’를 알리는 표지판을 볼 수 있다. 지금으로 말하면 경기도청사이다. 경기감영은 경기 관찰사가 사무를 보던 곳으로 태조 2년(1393년)에 설치되었고, 1896년에 이르러 수원으로 이전되었다. 서울 성곽과 불과 1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경기감영이 설치되었다는 것이 이채롭다.
 
경기감영터에서 조금 더 가면 ‘4.19혁명기념도서관’이 나온다. 이곳은 원래 자유당 시절 부통령을 지낸 이기붕의 집터인데 4.19혁명 직후 몰수되었고, 혁명을 기념하기 위해 도서관이 들어섰다고 한다. 이승만 정권 아래 무소불위의 권력으로 전횡을 일삼았던 그는 4.19 혁명이 발발 직후 아들의 권총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흔적만 볼수 있는 돈의문

 4.19혁명기념도서관을 지나 약간 경사진 길을 오르면 서대문, 즉 돈의문(敦義門) 터가 나온다. 태조 5년(1936년)에 한양 도성의 서쪽 대문(서대문)으로 창건된 돈의문의 원래 위치는 사직터널 부근이었다고 한다, 태종 13년(1413년)에 풍수지리상 이유로 숙정문, 창의문과 함께 폐쇄했다가, 세종 4년(1422년)에 현재 위치에 새 성문을 쌓고 돈의문이라 칭했다고 한다. 새로 지은 문이라 해서 새문, 또는 신문(新門)이라 불렸다. 그래서 그 앞길을 신문로라고 부른다. 새문안교회도 새문 안에 있는 교회라고 해서 이름 붙여진 것 같다. 이 돈의문은 일제 강점기인 1915년, 도시개발 계획에 따른 전차 복선화를 위해 헐렸다. 경향신문 앞 사거리 도로 바닥을 자세히 보면 옛 성문터였음을 알리는 표시물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4월 돈의문 현판이 발견된 것을 계기로 2013년까지 돈의문을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본래의 자리가 아닌 다른 곳에 복원된다고 하는데, 그 위치는 잘 모르겠다.
 
(횡단보도를 건너 경향신문 쪽으로 이동) 경향신문사 옆에 있는 패스트푸드 가게를 지나다 보면 작은 기둥이 있는데, 옛 돈의문과 주변의 사진 볼 수 있는 장치가 있다. 눈여겨보지 않으면 스치고 지나갈 수 있다. 나도 그 앞으로 몇 차례 걸어가 본 적이 있지만 그러한 시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던 터다.



4대문.보신각과 음양오행

 서울의 4대문과 보신각은 유교에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5가지 도리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에서 이름을 따왔다. 늘보 민경수 선생의 설명에 따르면 음향오행설에서 돈의문(敦義門)의 ‘義’는 ‘철(金)’에 해당되는데, 백범 김구 선생이 권총으로 암살당한 경교장도, 민비를 시해하기 위해 일본 낭인들이 칼을 들고 집결한 장소도, 일제시대 전차 종점도 돈의문주변 이었다. 권총, 칼, 전차는 모두 철(金)로 만들어 졌다. 음향오행의 원리인지 우연의 일치인지, 오랜 역사 속에서 연관성만을 찾아낸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흥미 있는 설명이다.

동양극장 터, 김종서 집 터, 그리고 성곽의 흔적

 경향신문사를 지나 문화일보 앞에 가면 ‘동양극장 터’를 알리는 표지석을 볼 수 있다. 동양극장은 1935년 서울에 세운 최초의 연극전용 극장이다. 해방 후에는 영화관으로 사용되다가 1976에 폐관되었고, 1995년에 철거되었다고 한다. 문화일보를 지나 농업박물관 쪽으로 가면 단종 때 좌의정을 지낸 ‘김종서의 집 터’를 만나게 된다. 이 역시 작은 표지석을 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기 쉽다. 표지석에는 그 곳이 ‘고마동(雇馬洞)'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마동이란 말을 바꿔 타거나 정비하는 동네라는 뜻인데,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라는 지역적 특색을 느낄 수 있다. 


 (이 곳부터는 샛길이나 공사 중인 길을 가로질러 가야하기 때문에 찾아 가기가 쉽지 않다.) 농업박물관 옆 샛길로 수령이 500년으로 추정되는 큰 회화나무를 지나면 왼쪽 작은 골목으로 창덕여중 뒷담 길이 보인다. 멀리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가까이 가서보면 학교 담장 밑에 성터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담장 밑에 네모반듯한 큰 돌들을 볼 수 있는데, 그 돌이 바로 돈의문에서 이어진 성곽이다. 서울 성곽은 태조, 세종, 숙종 때 축성 및 재건되었는데 제각기 특성이 있다. 크고 네모반듯하게 잘 정렬되어 있는 것을 보면, 아마도 숙종 때 축성한 돌로 추정된다. (계속)

Posted by 별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