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과 가족사까지 상의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
청산리 대첩에도 큰 공 세워

최근 안중근 의사 의거 100주년을 맞이하여 그를 기리는 많은 행사들이 열리고 있다.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흥사단 운동 70년사>를 보면서 흥사단 원동위원부 초기 시절인 1920년 4월 8일에 안정근(安定根) 선생이 흥사단 입단문답을 했다는 내용이 눈이 띠었다. 안정근 선생은 그저 안중근 의사의 동생 정도라는 기억만 희미하게 있었지만 호기심이 생겼다. 그래서 안정근 선생이 단우가 맞는지 확인하기 시작했다.

필자가 반갑게 발견한 문서는 1930년 11월 6일자로 원동임시위원부 위원장 안창호 선생이 이사부장 김성권에게 보낸 공문이다.(옆 사진) 내용은 예비단우 안정근을 본인의 요청에 따라 특별단우로 인준한다는 내용이다. 이 공문을 비롯해 많은 자료를 구할 수 있었고, 그가 단우로서 도산과 각별한 사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정근은 1885년 1월 17일, 황해도 신천군 두라면 청계동 출생하였다. 안중근 의사의 6살 아래 동생이다. 1909년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고, 1910년 여순감옥에서 숨지자 홀어머니와 안중근 의사의 유족과 자신의 가족, 동생 가족 등을 이끌고 북만주로 이주한다.

전 독립기념관장 김삼웅의 안중근 평전에 따르면 안정근 가족은 중국 길림성 목릉현 동청철도 조차지에서 수년간 생활하였는데, 이곳에 거주지를 선정하는 데에는 도산 선생이 도움이 컸다고 한다. 안중근 의사를 통해서인지, 아니면 직접 인연이 있어서인지는 몰라도 흥사단 창단 이전부터 두 사람은 교류를 해 왔다. 길림성에 거주하던 안정근 단우가 1911년에 도산 선생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국민회(國民會)에 참석하지 못한데 양해를 바라면서 만주지역에 있는 동지들에 대해 간략한 안부를 전하고 있다. 당시에 썼던 다른 편지 내용에도 ‘신한민보’ 등의 자료를 요청하거나, 만주지역의 정세, 독립운동가들의 현황 등을 상세히 알리는 내용이 있다.

길림성이 잠시 머물던 안정근은 일본군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로 이주하여 러시아 국적을 획득하고, 러시아 군대에 입대하여 활동한다. 군대를 제대한 후에는 동포사회의 경제적 안정을 돕기 위해 직접 벼농사 사업에 뛰어 든다. 벼농사 사업을 하면서 도산에게 모친과 동생 공근 등 가족들의 상황을 알리고, 안중근 전기의 발간과 관련한 재정 문제 등을 상의하기도 하였다. 당시는 편지조차 주고받기 어려운 혹독했던 시절이었다.(다른 편지에는 신변의 노출을 우려하여 자신의 본명 대신 가명으로 편지를 보내 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독립운동이라는 민족사적 문제뿐만 아니라 가족문제까지 두루 상의했던 것을 보면, 두 사람의 얼마나 절친하게 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

러시아에서 생활하던 안정근은 최초의 독립선언이었던 1918년 무오독립선언서에 도산과 함께 ‘독립군의 궐기’ 촉구하며 ‘육탄혈전(肉彈血戰)으로 독립을 완성’하자는 결의를 다지며 이름을 올린다. 무오독립선언서는 도산 선생이 교육과 인격훈련 뿐만 아니라 무장투쟁의 필요성도 공감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자료라 하겠다. 

1919년에 3.1운동이 일어나자 미국에서 활동하던 도산이 상해로 건너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산은 상해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일하면서도, 중국과 만주, 연해주 일대에서 흥사단 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상해 프랑스 조계에 흥사단 단소 설치한다.(<흥사단 운동 70년사>에 따르면 1920년 봄 무렵이다.) 우연인지, 서로 언약이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도산과 비슷한 시기에 안정근도 10여년간의 러시아 생활을 정리하고 상해로 이주한다. 안정근이 입단문단을 한 것이 1920년 4월 8일로 되어 있는 것을 보면 상해에서 원동위원부가 창립되는 초기부터 단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아쉽게도 그가 단에서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를 자료를 찾지 못하였다.

한편 상해로 온 안정근은 대외적으로 임시정부 내무차장과 대한적십자회 최고책임자를 맡는 등 주요한 직책에서 활동을 한다. 자료를 보면 도산의 대공주의를 실천할 사례가 눈에 띤다. 당시 북간도에서 활동하던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와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등 독립단체들의 갈등으로 인하여 항일무장투쟁 전선에 큰 혼란이 있었다. 안정근은 임시정부의 ‘파견위원’으로서 단체들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결국 연합작전에 성공한다. 주요 사례로는 청산리 전투를 들 수 있다. 안정근은 처음부터 청산리 전투에 직접 참전하여 큰 성과를 올렸다. 안정근 단우가 작성한 청산리 전투 보고서는 임시정부의 활동에 크게 기여하였고, 청산리 전투에 대한 문서 중 가장 주요한 문서로 인정받고 있다고 한다. 

청산리 전투를 마치고 임시정부로 복귀한 안정근은 대한적십자사 활동을 계속하면서 임시의정원 의원이 된다. 하지만 건강이 안 좋아진 그는 1925년 산둥반도에 있는 웨이하이웨이(威海衛)로 이주하여 중·일전쟁이 발발한 1937년까지 머물게 된다.

이 글의 앞부분에 소개한 도산의 공문(윗 사진)은 바로 그가 웨이하이웨이에 머물면서 투병하던 시기이다. ‘신병으로 가계에 어려움이 있어 장기간 활동이 어려워 특별단우로 인준한다’는 내용을 보면 병세가 상당히 심했던 것 같다. 단우의 사정을 헤아려 조치를 취했던 도산의 인간적 풍모를 볼 수 있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터지자 안정근은 홍콩으로 피난을 갔는데, 잠시 베트남에 내려가 살기도 했다고 한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하자 안정근은 다시 상해로 돌아와 중국 각지에 흩어져 있던 동포들의 귀국을 도왔던 한국구제총회 회장직을 맡아 활동을 한다. 안정근이 해방 후에 고국의 품에 돌아오지 않고 중국에 남아 있던 것은 형님 안중근의 유해를 찾기 위해서라고 한다. 형님의 유해를 찾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던 안정근은 1949년 3월 17일 상해에서 뇌암으로 숨을 거둔다. 조국이 해방되었어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산재해 있어 여전히 무거운 짐을 안고 있는 민족사의 아픔이 느껴진다.  

이상에서 안정근의 일대기를 살펴보면서 도산과의 관계, 흥사단 활동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안정근 단우는 흥사단 입단 전부터 도산과 교류를 하며 독립운동을 위한 논의 뿐만아니라 안중근 의사 전기 발행, 가족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상의할 정도로 살가운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도산처럼 교육을 중시했으며, 독립운동 진영의 갈등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자료를 정리하면서 도산이 그와 함께 1918년 무오독립선언서에 함께 참여하면서 무장투쟁을 격려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와 닿는다. 세세한 문제까지 도산과 상의했던 안정근 단우가 청산리 대첩 등 무장투쟁 일선에 나가 활동한 것도 도산의 생각과도 통했으리라. 도산의 크고 넓은 사고와 인간적 향기가 나는 인물됨을 느낄 수 있는 조사였다.

*사진자료 출처: 독립기념관

Posted by 별뿌리
,